청년고용정책 #쉬었음청년 #미래내일일경험 #k디지털트레이닝 #국민취업지원제도 #청년장려금1 "그냥 쉬는 청년 45만 명 시대… 취업은 ‘운’이 아니라 ‘정보’다!" 2025년 3월,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청년(15~29세) 중 ‘쉬었음’ 상태인 인구가 45만 명을 넘었다.역대 최고 수치다. 하지만 정부는 이 수치 뒤에 숨은 이유로 “제도는 있는데, 몰라서 못 쓰는 청년들이 너무 많다”는 점을 꼽았다. 그래서 고용노동부는 청년을 위한 맞춤형 취업 프로그램 6가지를 본격 홍보하고 있다.여기에 2조 50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는 사실, 알고 있었는가? 청년의 유형에 따라 나뉜 6대 맞춤 취업 프로그램 첨부 이미지에 잘 나타난 것처럼, 정부는 ‘재학’, ‘구직’, ‘재직’ 청년의 상황별 고민에 맞춰 정책을 설계했다.각각 어떤 제도가 있는지, 핵심만 콕 집어보자. 🎓 재학생 전용: 진로 고민 해결부터 AI 시대 직무역량까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 2025. 4. 16. 이전 1 다음 반응형